1) 개념
관계대명사 = 접속사 + 대명사
; 접속사 역할을 한다는 말은 기본적으로 두문장을 연결함
s+ v+ o + s+ v+ o
2) 원리
두 문장 s+ v+ o (접) s+ v+ o 에서
* S + V + O < 접 + 대명사 > + V + O
* S + V + O < 접> + S + V + <대명사>
=> <접속사+ 대명사> 이부분을 that/ which /who 등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로 관계 대명사!
3) 문장 구조 : * S + V + O + < who / that > + V + O.
사람
* S + V + O + < whom / that > + S + V.
사람
* S + V + O + < which / that > +V + O.
사물+동물
* S + V + O + < which / that > + S + V. 이런 패턴을 가짐!, 문장 구조를 눈으로 익히자!
사물+동물
=> 여기서 알 수 있듯이 관계대명**사의 핵심은 who /which / that 이 이끄는 문장이 구멍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S 또는 O가 빠지면서 뒷문장이 불완전한 문장이 된다.
But, 접속사에 여러 종류가 있으나 관계대명사와 시험문제로 출제가 되는 접속사는 ' that ' 이므로,
that에 한정하여 출제!
접속사 that의 문장 구조는 다음과 같다
* S + V + ( that + S + V + O )
* (That + S + V + O ) + beV + C
* S + beV + ( that + S + V + O )
4) 시험패턴
* 다음 밑줄친 쓰임이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a. I thought that he was rude. (접)
b. That he is kind is real. (접)
c. I know the man that met yesterday. (관대)
d. The facct is that he said so. (접)
=> c, 시각적으로 접속사 that 이냐, 접속사 that 이냐 구별하는 방법은 that에 명사가 있으면 관계대명사이다.
없으면 접속사가 된다. 그리고 관계대명사 뒷문장은 불완전한 문장이 온다.
a. The man that come yesterday. (주격 관대)
b. I know the boy that is tall. (주격관대)
c. This is the girl that danced on the stage. (주격관대)
d. This is the dog that I bought yesterday. (목적격관대)
=> d, 이문제 처럼 보기를 전부 관계대명사로 놓고 이 안에서 주격인지, 목적격인지 구별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 다음 밑줄친 쓰임이 틀린것은?
a. Pass me the magazine whom you read. (x)
b. This is the house whose windows were broken. (o)
c. Take the book which is on the desk. (o)
d. She said she was ill , that was a lie. (x)
e. The car who crashed was broken. (x)
=> a, d, e magazine은 사물이므로 that or which 로 고친다
that 에는 , 를 쓸 수 없다
car는 사믈이므로 that or which 로 고친다.